300만 명 덜컥 받은 청년희망적금, 감당 가능할까
최근 국내외 주식 시장이 약세를 보이고 은행 대출 금리가 올라가면서 위험자산인 주식을 정리하고 안전자산인 은행 예·적금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요.

얼마 전 청년들을 상대로 최고 연 10% 금리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청년희망적금에 무려 290만 명의 가입자가 몰려 앱 접속이 마비되는 사태까지 벌어졌죠.
지난 21일부터 11개 은행에서 출시한 청년희망적금은 매달 50만 원 한도로 자유롭게 저축할 수 있는 2년 만기 상품으로 이자소득 비과세와 저축장려금 지원 등을 통해 연 9% 이상 금리 수준을 누릴 수 있는 상품이었습니다.
만기까지 납입하면 시중 이자에, 1년 차 납입액의 2%, 2년 차 납입액의 4%만큼 저축장려금을 지원하는 파격적인 조건으로 청년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는데요.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21일부터 접수한 청년희망적금 가입 규모는 290만 명으로 정부가 관련 예산을 책정할 때 예상한 인원인 38만 명보다 8배에 달하는 수치를 보여주었습니다.
10% 안팎의 금리 혜택이 입소문을 타면서 가입 요건을 따질 수 있는 ‘미리보기’ 기간에 이미 200만 명 가까운 청년이 가입 가능 여부를 따지기도 했죠.
요일별 ‘출생연도 5부제’ 방식으로 첫 가입 신청이 시작된 21일엔 신청자가 몰리며 일부 은행 앱에서 접속 지연 상황을 발생했는데요.

예상을 크게 뛰어넘는 가입자가 몰린 가운데 정부는 지난 4일까지 접수를 마친 신청자 중 가입 요건이 충족되면 모두 적금 가입이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결정을 내렸습니다.
게다가 2020년 소득을 기준으로 해 혜택을 못 본 이들을 위해 정부는 지난해 소득을 기준으로 한 청년희망적금 추가 가입 방안을 검토하고 있어 가입자는 더 늘어날 전망이죠.
상품은 대박이 났지만 정작 제품을 판매 중인 은행들은 울상을 짓고 있는데요. 팔면 팔수록 극심한 손해를 입고 있다는 것이죠.

청년희망적금은 정부가 지원하는 비과세 혜택·저축장려금과 은행이 지원하는 고금리 혜택으로 나뉩니다.
현행 예·적금 금리는 높아도 3% 수준인데 반해 청년희망적금은 최대 이율 6%를 줘야 하니 은행으로선 부담스러운데요. 2년 만기 이자액을 계산해 보면 은행은 290만 명에게 약 1조 1240억 원의 추가 이자를 지급해야 하죠.
미래 고객인 청년층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지만 가입이 늘수록 부담이 큰 것은 사실입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가 높은 청년희망적금은 아무래도 팔수록 손해다. 정부도 38만 명으로 예상했는데 인기가 치솟자 신청을 더 받도록 했다.”라고 전했는데요.
이어 “갑자기 무한정 늘리면서 세부적인 사항이 잘 정리되지 않았고 은행으로서는 예상보다 부담이 커졌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가입 첫날 영업시간 전까지만 해도 예측 수요 38만 명을 당국이 각 은행에 할당량을 배분해 주면 선착순으로 마감되는 방식으로 알고 있었는데 신청이 급격히 늘며 일단 다 받으라는 지침이 내려왔다”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죠.

은행권들은 가입자 급증의 부담을 울며 겨자 먹기로 떠안아야 하는데 반해 생색은 정부가 내게 된 상황에 일부에선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는데요.
실제 가입자가 예상보다 8배가량 늘어난 만큼 정부 예산만으로는 감당이 불가능하기에 추가 비용은 은행이 부담할 가능성이 크죠.
당초 정부는 가입 조건이 연 소득 3600만 원 이하기 때문에 50만 원 한도를 꽉 채우는 경우가 많지 않을 것이고, 꾸준히 붓는 건 더 부담일 것이라 보고 가입 예상 인원은 낮게 잡았는데요.

최근 금융시장에서 은행 예적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데다 연 10% 이자라는 파격적인 조건에 수요가 폭발적으로 몰리게 됩니다.
실제 SNS 등에선 대출받아서 가입해도 남는 장사라는 말까지 퍼지기도 했죠.
이에 금융당국은 청년희망적금은 접수하는 은행들과 협의 과정을 거쳐 운영됐으며 사회공헌과 미래고객 유치 등을 위해 은행 또한 적극 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처음 청년희망적금의 소식이 전해졌을 때만 해도 생색내기용 상품이라는 지적이 나왔는데요. 그도 그럴 것이 한도 50만 원을 꽉 채워 2년을 넣어도 최대 이자가 111만 원이기 때문이었죠.
하지만 막상 출시되자 반응은 폭발적이었는데요.
청년들이 건전한 자산 형성에 관심을 쏟기 시작했다는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이자 111만 원에 열광하는 청년들의 모습에 척박한 현실을 대변하는 것이 아닌가 씁쓸함도 느껴지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