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까지만 해도 한국에서 가성비가 가장 좋은 차로 불리던 레이와 모닝. 일명 경차로 유지비가 적게 들어 중고차 시장에서도 가격이 잘 떨어지지 않는 차로 유명합니다.

지난해 11월부터 대략 6개월간 팔린 레이와 모닝의 판매 대수는 각각 17091대, 18152대로 집계되었는데요.
모닝의 경우 연비가 적어 기름값이 적게 들고 레이는 차량 크기 대비 실내 공간이 넉넉한 데다가 디자인이 독특해 많은 여성 운전자들의 사랑을 받아 왔습니다.

가성비 좋은 차로 통하며 한때 국민차로 불리며 도로에서 쉽게 볼 수 있었던 레이와 모닝, 그런데 코로나 이후 굉장히 많이 달라졌는데요. 레이와 모닝보다 더 쉽게 볼 수 있는 차량이 생겨났기 때문입니다.

같은 기간 20510대나 팔리면 레이와 모닝보다 더 팔린 차량은 벤츠 E 클래스로 최소 6천만 원 이상, 일부 모델의 경우 1억이 넘는 가격에도 가성비가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받은 레이와 모닝보다 더 팔린 것인데요.

벤츠 E 클래스의 판매 대수는 이 기간 기아 셀토스의 판매량은 20803대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습니다.
1년 전까지만 해도 모닝은 벤츠 E 클래스보다 훨씬 많이 팔리는 차량이었습니다. 2019년 11월부터 2020년 4월 6개월간 E 클래스는 13922대, 모닝은 22614대 그리고 셀토스는 28903대가 팔렸는데요. E 클래스는 1년 사이 무려 판매량이 5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벤츠 E 클래스가 최근 유달리 많이 팔린 까닭은 코로나19에 따른 보복 소비와 개별소비세 인하의 영향으로 추정되는데요. 개인이나 갖고 단위 이동 수요가 많아진 데다가 코로나19로 억눌린 소비 욕구가 터져 나오면서 판매로 이어졌습니다.
여기에 개별 소비세 인하로 비싼 차 한 번 타보자는 심리가 작용한 탓도 있습니다. 그리고 유독 벤츠가 한국에서 잘나가 벤츠 판매량을 이끌었는데요.

지난달 벤츠 판매량은 총 8430대로 국내 신차의 33%를 차지했으며 1억 원이 넘는 S 클래스의 국내 판매량은 미국, 중국 다음으로 전 세계에서 3위를 차지해 한국인의 벤츠 사랑은 남달랐습니다.

심지어 본사가 있는 독일에서보다도 더 팔려 벤츠가 서울 강남 소나타라고 불릴 정도입니다. 최근 유독 도로에서 벤츠 마크를 단 차량이 자주 보인 건 통계적으로 봐도 우연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는데요.

최근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긴 하지만 아직까지는 해외여행에 어려움이 있어 당분간은 명품이나 벤츠와 같은 고가의 외제차를 대상으로 한 보복 소비가 계속돼 벤츠를 포함한 기타 외제차 판매 흐름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